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건강의 의미
- 치료 의학
- 식품교환 표
- 뇌혈관질환 종류
- 4 Downs 1Up
- 순환계통 질환
- 오타와 헌장
- 건강위험평가
- 고혈압 치료
- 예방
- 당뇨병 원인
- 진단
- 고혈압 치료제 부작용
- 증상
- 고지혈증
- 고혈압 증상
- 고혈압 치료제
- 1차 예방
- 건강증진 의학
- 비감염성 만성질환
- 건강 요소
- 고혈압 원인
- 치료
- 건강증진 위험평가
- 질병예방
- 고혈압 진단
- 고혈압 예방
- 심뇌혈관질환
- 위험요인
- 진단 방법
- Today
- Total
목록위험요인 (2)
건강, 고혈압, 당뇨 예방, 치료

우리나라 심뇌혈관질환의 현황과 심뇌혈관질환 위험 요인 심뇌혈관질환과 한국인의 만성병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암을 제외하면, 단일 질환으로는 남녀 모두 심장질환이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이고, 뇌중풍과 같은 뇌혈관질환이 바로 뒤를 있습니다. 뇌혈관질환은 말 그대로 뇌 속의 혈관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질병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뇌중풍' 또는 '뇌졸중'이 대표적인데요. 크게 뇌 속의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뇌 속의 혈관이 터져 출혈이 발생하는 뇌출혈로 나뉩니다. 뇌중풍의 전조증상인 일과성 허혈발작도 뇌혈관질환입니다. 심혈관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흔히 '관상동맥질환'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협심증과,. 완전히 막히는 심근경색이 있습니다..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및 1차 예방 우리는 이미 심뇌혈관질환이 조기 검진과 발견이 어렵다는 사실과, 1차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예방한다는 것은, 질병을 일으키는 어떤 것들을 제거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면 어떤 위험요인이 이 질병을 발생하게 하는가를 먼저 살펴봐야겠습니다.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과연 심뇌혈관질환은 누구에게 잘 발생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뇌혈관질환은 일반적으로 나이와 성별, 유전 등 불가 학적 요인과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 잘못된 식습관과 흡연 같은 생활습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주요 만성질환 중 고혈압과 당뇨병이 조절이 가능한 질환이라는 것을 모르시는 분이 많습니다. 이상지질혈증 즉, 고지혈증과 고혈압, 당뇨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