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진단 방법
- 심뇌혈관질환
- 건강증진 의학
- 고혈압 예방
- 건강의 의미
- 고혈압 증상
- 뇌혈관질환 종류
- 치료 의학
- 건강위험평가
- 오타와 헌장
- 고혈압 치료제 부작용
- 진단
- 위험요인
- 고혈압 치료제
- 1차 예방
- 고지혈증
- 고혈압 진단
- 질병예방
- 당뇨병 원인
- 고혈압 치료
- 고혈압 원인
- 증상
- 건강 요소
- 순환계통 질환
- 4 Downs 1Up
- 치료
- 비감염성 만성질환
- 식품교환 표
- 건강증진 위험평가
- 예방
- Today
- Total
건강, 고혈압, 당뇨 예방, 치료
고혈압의 치료를 위한 약물요법과 부작용 본문
고혈압의 치료를 위한 약물요법과 부작용
고혈압 치료제는 보통 평생 먹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복용을 중단하면 혈압이 다시 상승하기 때문이죠. 그러나 충분한 생활습관 개선과 비약물요법을 통해 정상 혈압을 유지한다면,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도 있습니다.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해도, 비약물요법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고혈압 약물은 고혈압 분류에 따라 다르게 처방합니다. 1단계 고혈압에 해당하면 단일제재를 사용합니다. 약제로는 칼슘 차단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이뇨제, 안지오텐신 전환요소 억제제, 이 네 가지가 대표적입니다. 2단계 고혈압이면 두 가지 이상의 약을 함께 활용합니다. 다른 종류의 혈압약을 복합으로 사용하게 되면 한 가지 약의 용량을 2배 이상 늘이는 것보다 부작용이 적고 치료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혈압은 2-3종류의 혈압약으로 조절이 되는데 조절되지 않거나 부작용으로 1차 약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2차 약제를 사용합니다, 2차 약제로는 알파 차단제와 베타 차단제를 주로 쓰는데요. 알파차단제는 전립선비대증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노인남성환자에서 주로 사용되고, 베타차단제는 협심증 예방효과도 있습니다.
고혈압 치료제의 부작용
약이라는 것이 빈도는 드물지만 부작용을 함께 동반하곤 하죠. 혈압약 복용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현기증, 부종, 두통, 마른기침, 수족냉증 등이 있는데요. 가장 흔한 증상은 현기증으로 거의 모든 종류의 혈압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되겠습니다.
부작용: ① 현기증
현기증의 주요 원인은 혈압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갑자기 일어설 때 어지럼증을 느끼는 증상인데요. 알파차단제를 처음 복용한 경우에는 특히 심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약을 자기 전에 복용한다던지, 급격한 자세를 피하는 방식으로 예방하고 그래도 어지럼증이 심하면 다른 계열의 약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써야 합니다.
부작용: ② 부종
두 번째 부작용은 칼슘차단제와 알파차단제로 인한 부종입니다. 특히 발목 부위에 부종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요. 곧바로 증상이 나타나는 게 아니라, 몇 개월 또는 몇 년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들은 혈압약의 부작용이라고 생각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증례를 보겠습니다. 83세 남성 환자가 하지에 심한 부종을 호소하였습니다. 사진처럼 피부를 눌렀을 때 눈으로 확연하게 확인되는 정도로 심했고요. 진찰 결과 10년 전부터 칼슘차단제를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복용 중인 칼슘차단제를 즉시 중단하고 다른 약으로 대체한 결과 3개월 후에는 부종이 모두 사라졌습니다.
부작용: ③ 치은증식증
다른 증례는 잇몸이 증식되는 부작용입니다. 56세의 여성 환자가 치과 치료를 받던 가운데 치은증식증이 발견되었습니다. 잇몸의 일부가 치아 아래의 1/3까지 증식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앞의 증례와 마찬가지로 이 환자도 2년 전부터 칼슘차단제를 복용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부작용의 원인 약제의 복용을 중단하고, 다른 계열로 대체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부작용: ④ 안면홍조, 두통, 두근거림
칼슘차단제는 과거부터 오랫동안 사용한 고혈압 약제지만 혈관확장으로 인한 부작용, 즉 안면홍조, 두통, 두근거림이 흔하게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증상이 있다가, 보통 한두 달 지나면 완화되지만, 증상이 심하다면 다른 계열의 약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 ⑤ 마른기침, 목구멍 간지러움
이 부작용은 거의 동양인에게만 나타나는데요. 가래 없이 마른기침이 계속되거나 목이 간질간질해서 성가신 상태가 지속됩니다. 무려 여성 환자의 30%에게서 나타나는 부작용이고요. 원인은 안지오텐신 전환요소 억제제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관련된 증례를 볼까요? 고혈압 약물 치료를 시작한 59세 여성 환자는 치료 이후 갑자기 기침이 나고 점점 심해져 고통을 호소했습니다. 진찰 결과 폐에 별다른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복용하던 약물과 효과가 비슷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로 대체했고요. 4주 후, 기침 증상이 호전되었고 혈압도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습니다.
부작용: ⑥ 서맥, 수족냉증, 천식 악화
다음은 혈압약의 장기 복용으로 인해 맥박이 느려지고 손발이 찬 증상이 나타나거나, 천식이 악화되는 경우입니다. 모두 혈관 수축에 관여하는 베타차단제의 부작용 때문인데요. 증상이 나타나면 꼭 담당의사에게 상담을 요청하고, 부작용인 것이 확인되면 다른 약으로 대체하면 됩니다. 증례입니다. 77세 남성 환자는 고혈압 약물 치료 중 냉증을 호소했습니다. 혈압도 180/90㎜Hg으로 상당히 높은 상태였고, 10년 동안 베타 차단제를 복용한 병력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혈관을 확장시키는 칼슘차단제로 약을 대체하였더니 2주 후 냉증이 완전히 사라지고 혈압이 138/82㎜Hg까지 떨어졌습니다.
마무리
고혈압 예방과 치료의 핵심은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있습니다. 그리고 고혈압이 확인되면 처음부터 약을 먹기 보다는 적어도 3개월 이상 비약물요법을 통해 혈압을 낮추도록 노력합니다. 체중을 줄이고, 짜게 먹지 말고, 과음을 피하고, 반드시 금연해야 하고요. 일주일에 세 번 이상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래도 혈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혈압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건강, 고혈압, 당뇨 예방,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혈관질환 종류(뇌경색, 뇌출혈, 심혈관질환) (0) | 2022.07.23 |
---|---|
관상동맥질환과 뇌중풍의 검진 (0) | 2022.07.23 |
고혈압 증상과 치료(심뇌혈관질환) (0) | 2022.07.23 |
고혈압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 (0) | 2022.07.23 |
고혈압 예방과 치료(4 Downs, 1Up) (0) | 2022.07.22 |